vnrk
29min ago
06.24.25 16:30 -00:00
70 °C

vnrk caught 51 dinosaurs!
I got 6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Catch the moving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쟤동네바보래
25min ago
06.24.25 16:33 -00:00
ㅊㅊ
162985913
34min ago
06.24.25 16:25 -00:00
0 °C

As my character's limbs are being cut off, I want to cut off Hyojae-hyung's limbs too.
●▅▇█▇▆▇▅▄▇ ●▅▇█▇▆▆▅▄▇ ●▅▇█▇▆▆▅▄▇

NanaShirakawa
1hr ago
06.24.25 16:05 -00:00
0 °C

NanaShirakawa's record is 208 points!
I got 2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Want to feed your baby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빵떡모자아저씨
1hr ago
06.24.25 15:44 -00:00
0 °C

It won't run because these three are missing. I deleted them and downloaded them again, but it still doesn't work. How do I fix this?

1 / 3
Pikaa
1hr ago
06.24.25 15:34 -00:00
0 °C

Pikaa's record is 222 points!
I got 2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Want to feed your baby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블랙부라더
2hr ago
06.24.25 15:13 -00:00
0 °C

Black Brother's record is 282 points!
I got 2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Want to feed your baby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오르탄
2hr ago
06.24.25 14:55 -00:00
0 °C

Ortan's record is 427 points!
I got 2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Want to feed your baby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칼슘만땅
3hr ago
06.24.25 13:49 -00:00
1 °C

It's been 6 months since I waited

I'll beat you up before that

KyaaㅡㅡㅡㅡAh, phew!

OFFICIALGM Jubar
6hr ago
06.24.25 11:05 -00:00
48,008 °C

ALL CLASSMMORPG Lord Nine

 

Hello. This is GM Yubar.

 

Information on a large-scale mastery reboot will be provided through the Road Ssulzun live broadcast on 6/24 (Tue).

Here's the first gameplay footage of the new Mastery Side! (Watch it live)

 

If you have watched the broadcast and confirmed all the information that was first revealed,

Please leave a comment with your expectations for the Mastery Reboot and the new Mastery Side.

We will be sending Lord Nine 1st Anniversary goods to the Lords who have won through a lottery!

 

[ ' Road Ssulzun' Mastery Reboot & Side Expectation Review Event]

◆ Event Period: 6/24 (Tue) ~ 6/25 (Wed) 23:59

◆ How to participate

- After watching the Road Ssulzun live, write a comment about your expectations for the Mastery Reboot & Side Update.

   ※ If you missed the Road Ssulzun live broadcast, you can watch it again on the Road Nine YouTube channel.   ( Shortcut)

◆ Event Rewards

Payment Terms

Payment target

compensation

drawing

30 people

Road Nine 1st Anniversary Goods (1 out of 4 randomly provided)

◆ Winner Announcement: 7/10 (Thu)

※ Image of sample raffle prize goods

1st Anniversary Long Pad

3in1 cable

Beverage Package

Homun cushion

 

※ Note

- You can only participate in the event once. (If you participate multiple times, only one participation will be recognized.)

- For raffle prize winner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 name/address/contact information] is required to send prizes.

- Prize delivery schedule may change or be slightly delayed depending on the company's circumstances.

- The number of event winners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situation.

- If you do not enter your personal information within the period or enter someone else's personal information, your winnings will be cancelled.

- If the event prize quantity runs out, it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product and sent out.

- We cannot assist with loss of prizes due to the winner's negligence.

- Rewards will be paid based on the Stove account information that participated in the event.

- This event will be held in accordance with Smilegate’s [ Event Rules ] .

 

 

thank you

dong1e
4hr ago
06.24.25 12:58 -00:00
단검 피해면역을 지우시다니...정말...습격해버리고 싶네요 쿨타임이라도 기존처럼 냅둬주세요 힘들어요 사냥도 느리고 웁니다 울어요
S1748347367690811
4hr ago
06.24.25 13:26 -00:00
일단 밸런스패치 로드썰전 잘봤습니다간단하게 시청후기 남깁니다.맨손-서포터의 역할은 좋아졌으나 개인사냥부분에서 하향으로 판단했습니다. 기존에 개인사냥부분 데미지랑 마나소모만 개선해도 쓸만할거같습니다.검방-pvp시너지와 파티플레이 버프를 상향하여 다중제어쪽 활용할만한거같습니다. 하지만 6각형 직업답게 사냥터부분 스킬데미지/MP사용량 상향하여 성장도 보완했으면합니다.특히INT는..전방-철벽의 수호자 컨셉으로 이해하였으나 솔직히 받피->몬받피로 계수 너프로 PVE로 전락해버린듯합니다.. 대부분의 유저가 전방이많을텐데 스킬계수 반토막을 70%너프정도로 바꾸고 광역줄인대신 단일스킬계수상향으로 적절한 사냥속도는 따라갔으면합니다.대검- 광전사 컨셉답게 PVP 핵심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패치로 떼쟁전투필수 직업이며 다만 사냥에 근거리다운 광역기+ 유지력을 좀 더 주었으면합니다. 근거리 직업들이 사냥속도가 느린것을 감안하여 몬스터공격시/이동속도 상향으로 성장이 부족하지 않았으면 하네요전투봉- 상태이상 및 스턴기 추가로 상태이상 적중타이밍이 핵심이라 느꼈습니다. 1ㄷ1에서 꿀리지않을거같네요 상향인 것 같습니다.활-원거리 사냥부분에서 다른직업과 큰 스킬변동폭이 없어 보통인 것 같습니다. 로드썰전 스트리머들의 티어정리에서도 보듯 근거리와 원거리의 경계점에 맞게 계속 패치하여 밸런스잡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전체적인 밸런스를 잡아주는 캐릭이 사실 활이라 지팡이 사태가 없도록 유저반응 꼭 지켜봤으면 좋겠네요지팡이- 쿨탐/마나 대폭하향이네요. 어떤 스킬은 마나923인게 괜찮은건가요?? 조금은 롤백 해주셨으면 유저들 대부분이 접는일 없도록 하면합니다 ㅠ석궁- 쿨타임 상향으로 딜사이클 회전이 개선되었는데 DPM확 올라갈거 같네요 사실 상향된 직업 사이드,대검 카운터 필요했어서  견제로 PVP구도에 핵심이라는 생각듭니다.제발 밸패 롤백해서 전방/지팡이 계수 회복 / 맨손전투봉 검방 비쥬류 근거리 직업 스킬계수 상향시 직업선택도 자유로워지는게 진정한 '밸런스'있는 게임이라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OFFICIALCM루아
12hr ago
06.24.25 05:00 -00:00
2,758 °C

Hello hello~
Luaehyo!! 💚

Today's! How does the food taste?

It's so ridiculous

I took care of a good and healthy diet !

"Odubira"   Do you know?

I just found out about this today too

Cucumber + tofu + bibimbap!

"Huh?? But Why did you include 'Ra' ? What on earth does it stand for?
(Teaser Trailer) Ra 's identity is revealed at the end!"

[ 2025.06.24 Cucumber Tofu Bibimbap]

This is not a Euro advertisement!!!! It's "made in Korea with my own money" !

🐟 Today's hidden MVP... It's none other than the oil-free and evil sesame seeds!

Look at that sheep,

I almost poured out a whole can...

Hmm ~~~~~~~~~~~~

I took a little taste...

The blue ocean and emerald waves spread out before your eyes...

A cold feeling rising from the feet

“Ahhhhh! It’s the sea!”
"The sea is spreading out!"

Something is being carried by the surging waves...

That's it?!

Soy sauce and sesame oil~!

A perfect collaboration of the scent of the sea, cucumber, and sesame oil.

It perfectly ties together the entire bibimbap combination!

🥒 Cucumber – Crazy moisturizing

It's a crunchy combination, so every time you chew it

This feeling of even my head getting better~

What is 512 times 248?
126978! (Wow! Mensa approved)

Dessert - even smoked eggs!

A clean finale with one pill!!!!!!!!!!!!!!!!!!!!!!!!!!!!!!!!!!!!!!!!!!!!!

It was absolutely perfect.

Up to here.....

But you know…
My stomach is full, but my heart is 2% empty...😞

You know this feeling a little bit?

The nutrients are definitely charged,

The soul is still empty

That familiar and stimulating

Spicy taste.....

...

..

.

.

so

at last


'Ra' is now released~!

ramen…


With one chopstick

A miracle where all shortcomings are filled....

“That’s right. I support my choice! ”

📌 Today's lunch is

It ends with the fact that it was a soul replenishment meal ...

👉 Flake Event!

Leave a comment and Lua will shoot you 1,000 Flakes!
Instead, only for the 10 people who wrote by June 30th!


Please participate a lot 😝

#루아밥맛 #다이어트일기

덤비면문다고
10hr ago
06.24.25 06:47 -00:00
오이 + 두부 + 참치 까진 좋았는데, 라면이라니!Not Approved !
용인남부경찰서
12hr ago
06.24.25 05:12 -00:00
무슨 라면인가요?루아 대답.
촉촉한감자칩
06.05.25
06.05.25 09:46 -00:00
1,407 °C
《겜잡식》🗳️이재명의 당선, 게임 업계에 불어올 바람은?


안녕하세요!

이번 한주도 고생 많으셨습니다.
주말 동안 고향에 다녀올 일이 있어서, 이번 주는 하루 일찍 찾아왔습니다.

한국에는 무엇보다 중요한 대선이 있었고, 이 대선은 게임 업계에도 분명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네요.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포함해, 이번 주에는 어떤 소식들이 있었는지 겜잡식과 알아보도록 합시다.



🗳️ [금주의 대선과 업계] 이재명의 당선, 게임 업계에 불어올 바람은?
🧙 [금주의 신작 소식] 시프트업, 프로젝트 스피릿 공개와 AI 사용 논란
🪂 [금주의 게임 행사] Play of state 신작 소식 요약
🤣 [금주의 게임 유머] 드디어 밝혀진 오징어 게임의 흑막!
😶‍🌫️ [금주의 스팀 요약] 리눅스 사용자 최고 기록과, 인텔 CPU 점유율 최저 기록
💸 [금주의 업계 광고] 콜 오브 듀티, 인게임 광고 도입에 유저들 뿔났다!
🔊 [금주의 게임 단신] 짧지만, 중요한 업계 소식들


🗳️ [금주의 대선과 업계] 이재명의 당선, 게임 업계에 불어올 바람은?




선거 기간에는 정치 이야기를 꺼내는 것만으로도 조심스러웠지만,
이제는 결과가 나왔으니, 우리 업계에 어떤 변화가 올지 차분히 살펴볼 때가 되었습니다.

이번 대선에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게임특별위원회(게임특위)를 꾸리고,
게이머와 실무진이 함께 정책 제안서를 작성했습니다.
정책서가 대통령 당선인에게 전달되었고, 앞으로 5년간의 게임 정책의 청사진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럼 과연, 이재명 정부가 보여준 게임 관련 정책의 핵심은 어떤 내용이었을까요?
가볍게, 하지만 꼭 짚어야 할 부분들만 정리해 봤습니다.


  1. 게임 질병화에 반대: 질병 코드 도입 유보 및 인식 개선

가장 민감한 이슈였던 ‘게임 중독 질병코드’ 도입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게임을 중독 물질처럼 분류하는 시도는, 게임 자체를 ‘질병’으로 낙인찍고, 게이머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불신을 확대할 수밖에 없죠.
그렇기에 게임 질병 코드 도입은 “완전 유보”가 약속되었습니다.

더불어 이재명 정부는 “게임은 확고한 문화 콘텐츠 중 하나”라는 입장을 전제로,
감정적인 프레임이 아닌, 과학적·사회적 합의 과정을 통해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존에는 ‘의학계의 공격 → 게임계의 방어’라는 갈등 구도의 게임질병화 논란을,
“사회적 합의”와 “문화의 인식”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게임을 문화로 인정하고, 사회 전체의 공감대 속에서 다뤄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보여주는 지점입니다.




후보 시절부터 SNS를 통해 홍보했던 게이머들을 위한 정책

  1. 게임물관리위원회 개편 및 플랫폼 자율 심의 확대

더불어민주당 당 차원에도 게관위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관점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기에 공약의 핵심은 “게관위는 새로운 전담 조직으로 개편”, “불투명한 사전 심의의 축소나 폐지”, “국가 단위의 검열과 규제를 단계적 개선”입니다.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는 “제21조제2항: 언론·출판에 대한 허가나 검열과 집회·결사에 대한 허가는 인정되지 아니한다.”조차 초월한 권력을 휘두르던 게관위였지만,
이번 정부에서는 확실히 이건 아니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이 구조를 바꾸겠다는 태도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국가 검열 → 민간 자율 + 사후 관리”로 틀 자체를 바꾸겠다는 거죠.

  • 게임물관리위원회를 새 전담 조직으로 개편 (주로 사행성 게임 심의를 위한 조직)
  • 불투명한 사전 심의는 단계적으로 축소하거나 폐지
  • 민간 신고제를 중심으로 한 플랫폼(스팀, 구글, 앱스토어) 자율 심의 체계 도입

더불어 위에서 말했던 “게임을 문화”로 보는 관점은 여기서도 계속 이어졌습니다.
기존에 여성가족부에서 담당했던 게임 관련 업무는, 문화체육관광부로 대부분 이전될 예정입니다.

여가부에서 시행했던 대표적 게임 업무가 “셧다운제”였다는 것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이것의 의미가 얼마나 큰지 와닿을 것입니다.
게임을 규제의 대상이 아니라, 진흥과 육성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이죠.


  1. 확률형 규제 강화 및 블록 체인 신중론

시장을 교란할 수 있는 돈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게임 주제에서는 상당히 신중하고 규제의 입장을 보여주었습니다.

위의 게관위 개편에서도 “사행성 게임은 사전 검열을 유지”할 정도로, 기망과 도박 요소는 게임에서 빠져야 한다고 분명하게 말했죠.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 참여한 e스포츠 행사에 “확률형 아이템은 문제”라는 직접적으로 언급을 할 정도로, 이에 대해 명확히 부정적인 관점을 보여주었죠.

확률 공개 의무화가 지켜지지 않으면 추가 법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도 표명했죠.
다만 이런 강경한 기조가 게임사의 수익모델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산업과 게이머의 공존을 위해 신중한 자세를 유지했습니다.
역시 시장 자율성에 맡기는 방향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블록 체인 게임에 대해서는 “결론은 반대지만, 일단은 유보”라며, 상당히 애매하면서도 중립적인 견해를 내놨습니다.
기술 자체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지금처럼 투기성, 불공정성, 사행성이 뒤섞인 게임은 공정과 책임이라는 기준에 어긋난다는 것이죠.

“규제가 기술을 막아서는 안 되지만, 시장 교란이나 소비자 피해는 반드시 막아야 한다.”
이게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균형점입니다.



선거 운동 기간 e스포츠 행사에 직접 참여하며, 게임 업계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 이재명 대통령


  1. 게임 진흥 기관 설립과 IP 육성

이번 정책 제안서에는 단순한 규제나 제한 외에도, 국내 게임 산업의 진흥과 성장을 위한 내용도 빠지지 않았습니다.

게임 문화의 발전 및 성숙을 위한 “게임 진흥 기관”의 설립 및 강화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장기 과제’로써, 우선은 한국콘텐츠진흥원 내 게임 본부의 독립적 기능 지원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본부의 독립적 기능 강화
  • 게임 아카데미 설립, 마이스터고 지원 확대
  • 국산 IP 보호, 해외 진출 지원
  • 콘솔 진흥 정책, 창작자 발굴 등

그리고 대통령이나 고위 공직자가 지스타와 같은 게임 행사에 직접 참여하겠다는 언급도 있었습니다.
이는 게임 산업을 국가 주요 산업으로서 인식하고, 대 내외적으로 정책적 시그널을 던지는 중요한 행보가 될 수 있겠죠.



성남시장 시절, 국내 게임 행사 G-스타를 성남시에 유치한 적이 있는 이재명 대통령


  1. 게임 업계 노동자를 위한 노동 환경 개선

기업보다는 노동자를 중요시하는 당의 출신상, 게임 업계 종사자를 위한 정책 또한 빠지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노동 환경 개선과 근로 시간 감축, 그리고 노사 간 교섭 창구 마련이 주된 주제였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조금 특이한 접근 방법을 내밀었습니다.

게임 노동의 특수성에 대한 논쟁이 아닌, “데이터를 가지고 검증하면 되는 문제”라며 논쟁 자체를 없애버렸죠.
데이터 기반의 논의는 그동안 “감정적 싸움”에 치중되던 노사 갈등을, 다른 산업 직군과 객관적 비교를 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의 논의로 주제를 바꾸게 되었죠.

기업으로서도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화는 무작정 반박하기 어렵고,
근로자로서도 크런치 모드와 같은 과도한 압축 노동을 객관적으로 비교하며, 더 나은 환경을 요구하거나 양보해야 하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게임 산업을 단순한 오락을 넘어 국가의 주요 산업이자, 핵심 성장 동력, 그리고 문화적 자산”으로 인식하는 시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록 정책서에 담긴 모든 내용이 실천되는 것은 아니고, 대통령 개인의 신념과 반하거나, 현실의 장벽과 정치적 이해관계로 좌초되는 정책도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번 정부의 출발점이, “게임은 문화이며,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라는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 환영할 일입니다.

정부의 검열보다 유저와 업계의 자율,
도박적 수익보다 책임 있는 구조,
규제보다 지원, 무시보다 존중.

이것이 이재명 정부가 약속한 게임 정책의 핵심이 아닐까 합니다.
게이머 입장에서도, 업계 종사자 입장에서도, 조금은 기대해볼 만한 5년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게임을 질병처럼 분류하던 시도에서 이제는 문화로 인정하는 시선으로의 전환이 보입니다.
앞으로의 정책은 갈등이 아닌 ‘합의’를 향할 수 있을까요?


🧙 [금주의 신작 소식] 시프트업, 프로젝트 스피릿 공개와 AI 사용 논란





시프트업이 드디어 스텔라 블레이드의 뒤를 잇는 신작을 공개했습니다.
그동안은 “프로젝트 위치스”라는 코드명으로 불려 왔지만, 이번에 정식 타이틀이 “프로젝트 스피릿”으로 확정되었고, 키 비주얼과 함께 공개되었네요.

이번 작품은 동양풍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서브컬처 스타일의 게임이며, 콘솔과 모바일 모두를 아우르는 크로스 플랫폼 게임으로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특히 채용 공고의 우대 조건에,
원신, 명조, 젠레스 존 제로, 고스트 오브 쓰시마,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를 열성적으로 플레이하신 분

이 단서들만 종합해 보면, 이번 신작 역시 ‘원신라이크’ 스타일의 오픈 월드 게임이 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키 비주얼의 분위기나, 김형태 대표의 과거 이력(블레이드&소울, 마그나카르타)을 떠올리며,
“혹시 블소의 꿈을 다시 이어가는 것인가?”라며 기대하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제목부터 ‘스피릿 = 소울’이기도 하구요!


더불어, 채용 공고에 올라온 “우대조건”에 재밌는 내용이 포함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시나리오 라이터의 경우는 “피규어나 굿즈 20개 이상”일 경우 우대 조건이 걸려 있으며,
일러스트레이터의 경우는 “피규어나 굿즈 40개 이상”이 우대 조건이라네요 ㅋㅋㅋㅋㅋ



덕질 경력도 이제는 이력서 한 줄이 되는 시대인가 봅니다.



저는 우대조건을 까마득하게 초과 충족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키 비주얼의 AI 사용 논란

그런데 이 화려한 발표의 뒤편에서 AI 사용 논란이 터졌습니다.
공개된 키 비주얼 속 일부 이미지에서, AI 생성 이미지에서 자주 나타나는 글리치(겹칩)와 어색한 디테일이 다수 포착된 것인데요.

위 사진에 왼쪽에 있는 캐릭터의 칼을 쥔 손에 주목해 보세요. 칼을 쥔다면 (그냥 물건을 쥔다면) 엄지손가락은 앞으로 와야겠죠?
하지만 손을 그저 얹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칼 뒤편으로 튀어나온 손가락이 이상합니다. 각도도 길이도 연결이 되지 않죠.

마찬가지로 같은 캐릭터의 머리카락에 주목해 보면, 몸의 오른편에 집중해서 보면, 허리까지 오는 장발처럼 보이는데, 왼편과 다리 사이로까지 길게 늘어져 있습니다.
이 통일성 없는 헤어 처리는 AI 생성 이미지에서 자주 관찰되는 증상이죠.

이번에는 배경에서도 마찬가지로 관찰됩니다. 이미지가 부자연스러운 연속성을 보여주는 글리치를 많이 보여주기도 하지만,
왼쪽 건물의 처마(지붕 끝)는 쌍 처마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이미지 글리치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관대하게 봐서 판타지 세상의 건축 양식이라 돌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바로 아래의 건물을 보면, 이 쌍 처마가 한 면에 달라붙어 > 추녀(모서리 서까래) 2개나 달려버리는 = 전형적 AI 글리치 이미지 장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아래의 테라스 난간의 끝부분도, 뭉개지듯 처리되어 있고, 창호의 문양이 아주 이상하다는 점은 굳이 말할 필요도 없겠죠.

배경 좌우에는 똑같은 자판기가 있는데, 같은 듯 다르게 생긴 전형적 ‘AI 각도에 따른 전혀 다른 이미지를 생성’하는 문제를 보여주고 있죠.
이 외에도 AI로 키 비주얼을 생성했다는, 많은 정황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한편, 도로롱 화투까지 내면서 제대로 노 젓고 있는 시프트업 ㅋㅋㅋㅋ


사실 김형태 대표는 자신의 SNS에 일러스트 보조용 AI 툴을 소개하거나,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AI를 개발에 활용하는 것도 점점 흔해지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사용처와 방식입니다.

팬들이 이번에 반발하는 이유는 단순히 “AI를 썼다”가 아니라, 게임의 첫인상, 방향성을 상징하는 ‘키 비주얼’을 생성형 AI로 만든 것에 대한 반발입니다.
이 이미지는 앞으로 게임 출시하는 그 순간까지도 계속해서 사용될 이미지입니다.
게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키 비주얼인 만큼은 인간다운 정성이나 아티스트의 철학이 담겨있길 바랐죠.

하지만 영혼없는 AI 작품이라는 점이, 게임에 대한 기대를 많이 갉아먹어 버린 것입니다.

게다가 시프트업은 스타트업도, 자금이나 노동력이 부족한 인디 개발팀도 아닙니다. 스텔라 블레이드와 같은 글로벌 흥행 게임도 만들어낸 중견 게임사입니다.
그런 견실한 기업의 공식 홍보 이미지에 AI 딸깔의 향기가 느껴지는 것은, 많은 게이머에게 아쉬움을 자아냈습니다.

김형태 대표 특유의 아트 스타일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특히 큰 유감을 표하고 있죠. 



개성적인 그림체로 많은 팬을 만들어낸 김형태 아티스트. 일부는 “이제는 영혼이 느껴지지 않는다.”라면 통렬한 비판을 하기까지…


🪂 [금주의 게임 행사] Play of state 신작 소식 요약




소니의 온라인 쇼케이스 State of Play에서 많은 신작 게임의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기대했던 소식들은 없었지만, 의외로 기대를 충족시켜 주는 소식이 있어서,
“최근 들어 가장 좋았던 쇼케이스”라는 평가가 많았습니다.

기대를 안 해서 오히려 좋았다는 댓글도 있는 걸 보면… 정말 좋았던 걸까? 하는 생각도 들긴 하지만요 ㅠㅠ
그리고 무엇보다 “거의 전멸에 가까운 퍼스트 파티 게임들”은 여전히 의문스럽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어떤 신작 게임들이 있을지 한번 살펴봅시다! 관심 가는 게임은 제목 복붙으로 쉽게 영상으로 찾아가실 수 있을 겁니다.



 - Lumines Arise | PSP 시절 필수 타이틀 중 하나였던 퍼즐 게임인 루미너스의 신작 - 출시일 미정
 - Romeo is a Dead Man | 데드 아일랜드가 바로 떠오르는 B급 좀비 무쌍 게임 - 2026년 출시 예정
 - Pragmata | 20년 첫 공개 이후 연기만 되다가, 드디어 게임 플레이가 공개된 SF 풍의 TPS 어드벤처 - 2026년 출시 예정




 - Silent Hill f | 일본을 배경으로 한 공포 게임 시리즈의 신작 -  2025년 9월 25일 출시 예정
 - Digimon Story Time Stranger | 디지몬 스토리의 신작, 성인을 타겟으로 어둡고도, 히로인의 큰 가슴이 인상적인(???) 게임 - 2025년 10월 3일 출시 예정
 - Bloodstained: The Scarlet Engagement | 악마성 시리즈의 신작, 이번에는 남자 주인공을 내세우면서, 동일한 게임 방식 - 2026년 출시 예정




 - Final Fantasy Tactics: The Ivalice Chronicles | PS1으로 발매되고 아직도 소환되는 명작, 파판 택틱스의 리메이크 -  2025월 9월 30일 출시 예정
 - Hirogami | 종이 접기(변신)을 통해 펼쳐나가는 횡 스크롤 어드벤처 게임 - 2025년 9월 3일 출시 예정
 - Baby Steps | 항아리 게임으로 유명한 베넷 포디의 신작, 이번에는 다리를 조작하는 방식(걷기)으로 게이머를 고문할 예정 ㅋㅋㅋ -  2025년 9월 8일 출시 예정




 - Ninja Gaiden: Ragebound | 오락실의 명작 ‘시노비’ 형태로 닌자 가이덴을 새롭게 해석한 신작 - 2025년 7월 31일 출시 예정
 - Mortal Kombat: Legacy Collection | 고전 모탈 컴뱃 시리즈를 총망라한 컬렉션 - 2025년 출시 예정
 - Cairn | 암벽 등반(클라이밍)을 게임 속에 우려낸 등반 게임. 최소한의 UI에 호흡이나 컨트롤러 진동을 단서로 스테미너를 관리하는 ‘등반 소울’ - 2025년 11월 5일 출시 예정




 - Metal Gear Solid Δ: Snake Eater | 메탈기어 솔리드 3편의 리메이크. - 2025년 8월 28일 출시 예정
 - Thief VR: Legacy of Shadow | 잠입 게임의 유명 시리즈인 시프 시리즈를 VR로 만들어내는 신작 - 2025년 출시 예정
 - Nioh3 | 패링 중심의 소울 라이크 인왕 시리즈의 신작, 이번에는 닌자 캐릭터의 추가와 오픈월드로 더 다양한 액션을 선보일 예정 - 2025년 출시 예정




 - Tides of Tomorrow | 선택 기반 스토리 게임에, 멀티 플레이와 어드벤처를 섞은 도전적인 신작 게임 - 2026년 2월 24일
 - Sword of the Sea | 힐링 게임으로 유명한 ‘압주(ABZU)’가 선보이는 신작. 호버보드로 세계를 여행하는 (압주 방식) 게임 - 2025년 8월 19일 출시 예정
 - Sea of Remnants | 특이한 아트 스타일의 인형이 되어, 바다를 탐험하고 전투하며 스토리를 즐기는 '시드마이어의 해적 풍' 해양 판타지 - 2026년 출시 예정




 - 007 First Light | 히트맨 개발사의 인터렉티브 007 게임. 제임스 본드의 기원을 재해석하는 오리지널 스토리 - 2026년 출시 예정
 - Ghost of Yotei | 고스트 오브 쓰시마의 후속작 - 2025년 10월 2일 출시 예정
 - Marvel Tōkon: Fighting Souls | 마블 IP를 기반으로 한 격투 게임, 길티기어로 유명한 아크 시스템 웍스에서 제작! - 2026년 출시 예정



그런데 아이언맨 디자인이 건담이 되어버린 건 좀…


마블 격투 게임과 인왕 3, 그리고 과거 PSP가 망가질 정도로 많이 했던 루미너스 신작은 기대 중입니다.
디지몬 스토리는 영상이 은근 암울하면서도, 그래픽 퀄리티나 게임이 괜찮아 보이네요!



여러분들은 관심 있게 본 게임이 있으신가요?



🤣 [금주의 게임 유머] 드디어 밝혀진 오징어 게임의 흑막!





오징어 게임 = ㅇㅈㅇ ㄱㅇ
이재용 개입 = ㅇㅈㅇ ㄱㅇ

삼성 네 이놈!

※ 주 : 도서출판 삼성은 삼성의 계열사가 아닙니다.

벌써 손절하다니 눈치가 빠르군 삼성 ㅋㅋㅋㅋ



▷ 닌텐도 대표 야한 게임 근황 ◁




닌텐도의 가장 야한(???) 게임은 야추(yacht) 다이스!

월드 보드게임 51이라는 게임 속에 포함된 미니 게임으로,
특유의 조이콘 흔드는 손맛과 도박 아닌 도박 같은 주사위 조합 놀이가 로그라이크 게임과도 닮아 있어서 참 유명했죠.

최근에 이 게임이 “공식 한국어 번역!” 되었습니다.




요트 게임으로 번역되었다 ㅠㅠ
단어 검열 뭔데 ㅠㅠ




그러니 스팀에 있는 야추 게임으로… (🔞금 입니다.)

참고로 이건 지역마다 부르는 말이 다릅니다.
한국 공식 번역은 요트, 속어로 야추라고도 불리고, 미국 텍사스 쪽에서는 야찌라고도 불립니다.



빅뱅 이론에서도 등장하는 야찌 ㅋㅋㅋㅋ





▷ 게이머가 아내에게 선물 받은 케이크 ◁




한 레딧 게이머가 아내에게 선물 받은 케이크를 인증했습니다.
닼소에서 유명한 화톳불 모양의 케이크인데, 유다희 대신 “You aged (너 나이 먹음)”이 적혀 있네요 ㅎㅎㅎㅎ







다른 분이 인증한 케이크는 마인크래프트의 크리퍼와 TNT 조합의 케이크입니다.
어서 촛불을 끄지 않으면 대폭발이 일어나겠네요 ㅋㅋㅋ





▷ 게임 좀 해본 여친 ◁




출혈 도트뎀이라니 ㅋㅋㅋㅋ


▷ 전 세계 단 한 게임에만 존재하는 공식 모드 ◁




ULTRAKILL 이라는 둠 라이크 게임에서는 정말 특이한 공식 지원 모드가 있습니다.




진동 애널 플러그라니… 이 뭐…







는 유일한 모드가 아니게 되었다 ㄷㄷㄷ




▷ 한 버튜버 광팬의 근황 ◁




메탈기어와 데스스트렌딩의 프로듀서인 코지마 히데오는, 버튜버 광팬으로도 유명합니다.
SNS로 홀로라이브 소속 버튜버 우사다 패코라의 방송 후기를 남기는 등, 아주 열성적으로 활동을 하죠.

그리고 결국…




데스 스트렌딩 2에 우사다 페코라를 NPC로 등장시켰습니다 ㄷㄷㄷㄷ

이건 성공한 덕후인가? 아니… 덕후한 성공(?)인가???



😶 🌫️ [금주의 스팀 요약] 리눅스 사용자 최고 기록과, 인텔 CPU 점유율 최저 기록




5월 스팀 하드웨어 통계가 갱신되었습니다.
상당히 많은 변화가 포착되었는데, 우선 주목할 소식은 인텔 CPU의 가파른 추락입니다.

계속해서 점유율이 축소되고 있었던 인텔 CPU는 결국 60% 선 마저 무너져 버렸습니다.
가성비가 좋으면서도, 최근에는 게임에서도 고성능을 뽑아주는 x3D 제품군의 활약으로 AMD는 40%의 벽을 넘어서는 데 성공했네요.
심지어 이런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텔은 CPU마다 메인보드를 세트로 바꿔주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AMD CPU의 경우는 정말 높은 호환성으로 CPU 세대가 바뀌어도 계속해서 메인보드를 활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죠. 이 덕분에, 한번 AMD에 정착한 사용자들은 쉽게 인텔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즉, 한번 가져온 시장 쉐어가 쉽게 인텔에 되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는 말이죠.




한편으로는 리눅스의 사용자가 다시 한번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69%로 그 수치는 결코 높다고 볼 수는 없지만, 1% 미만에서 수십 년간 머물던 그래프가 스팀덱 출시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상세 점유로는, 스팀 OS의 점유율은 31% 가량이고, Arch 리눅스가 10% 가량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정말 다양한 리눅스로 분할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윈도우 10의 공식 지원 종료를 알린 뒤로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비싼 윈도우 11대신 리눅스 OS를 대체제로 선택하는 경향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번 통계에서 윈도우 10의 사용자는 1%가량 감소했지만, 11의 사용자는 0.5%밖에 증가하지 않았고, 나머지는 리눅스 사용자로 유입(0.42%)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최근에 대표적인 게임 유튜브 퓨디파이가 기존에 민트 리눅스에서 아치 리눅스로 옮겨가면서,
리눅스를 소개하고 추천하는 영상(577만 조회수)을 만들어 올리며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리눅스의 점유율 상승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외에도 통계에서는, 55% 이상의 사람들이 여전히 FHD 해상도에서 게임을 즐기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습니다.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주로 FHD 모니터를 가로로 이어 붙인 (1980*2)*1024  2FHD 방식이 56%로 주류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현재 게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게임용 그래픽 카드는 RTX 3060 (4.56%), RTX 4060 Laptop(4.46%)로 나타났습니다.
노트북 게이머가 이렇게 많은 건 살짝 의외네요!





▷ 금주의 스팀 트랜드

 - ‘엘든링: 밤의 통치자’
20만 명 이상의 동시접속자를 꾸준히 유지하며 흥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복합적이었던 평가는, 개발사의 개선 약속과 게이머의 경험이 쌓이면서 대체로 긍정적(76% 긍정적)까지 회복되었습니다.

다만 이 이상의 성적 상승은 기대하기 어렵겠네요.
너무나 분화된 매칭 시스템, 타임 어택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보스 공략, 오직 숙련자를 위해 만들어진 게임의 기본 틀은 바뀌기 힘들기 때문이죠.

몬헌 와일즈도 그렇고 엘든링도 마찬가지로 평가와 판매량이 비례하지 않는 결과를 보여주는 건 흥미롭네요.
다들 오직 팬심으로 이 정도까지 구매하고 플레이를 이어가고 있다는 것이니까요.


 - 델타룬
언더테일의 후속작 델타룬이 6월 4일 정식 출시하였습니다. 13만 명의 동시 접속자를 기록하며, 평가는 “압도적으로 긍정적(98%)”
2개 챕터(3,4)가 추가되어 드디어 완성형이 되었습니다. “어째서 2 챕터 만드는 데 4년이나 걸렸는지 단번에 이해되는 갓겜”이라는 리뷰가, 스포일러 없이 게임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이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절대 인터넷에서 아무것도 찾아보지 마!” 라는 말이겠죠.
재밌다는 말조차 감동적이라는 말조차 중요한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까요 ㅋㅋㅋ




언더테일 아시는구나! 한동안 스포일러에 조심하며 다녀야 합니다 ㅋㅋㅋㅋ

 - 스텔라 블레이드 (데모)
26만 최대 동접자와 91%에 달하는 매우 긍정적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오직 데모만으로 말이죠.
정식 출시된 AAA 게임들도 얻지 못한 성적을 데모만으로 달성하고 있습니다.
정식 출시는 다음 주 목요일 (6월 12일)인데, 과연 얼마나 굉장한 성적을 거둘지 벌써부터 기대가 되네요 ㅎㅎㅎ

그리고 당연하게도 넥서스 모드에는 엄청난 모드들이 마구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데모 공개 72시간이 지나지도 않아 누드 모드가 나온 것은 물론이고, 다양한 코스메틱 모드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당연히 데모와 본편은 거의 완벽히 호환되니, 게임 출시 첫날부터, 다양한 모드로 게임을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록 저퀄이긴 하지만, 대마인 아사기 모드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식 출시 이후는 더 엄청난 모드를 기대할 수도 있겠네요!


💸 [금주의 업계 광고] 콜 오브 듀티, 인게임 광고 도입에 유저들 뿔났다!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전반에 걸쳐 인 게임 광고가 조용히 업데이트되어, 게이머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기본 무료 게임인 콜 오브 듀티: 워존에 광고가 들어가는 건 BM(비즈니스 모델) 구조상 어느 정도 이해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번엔 문제의 중심이 다릅니다. 정가 $80라는 풀 프라이스에 블랙 옵스 6 같은 게임에도 동일한 광고가 적용된 것이죠.

문제는 이 광고들이 단순히 상점 탭에만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무기를 고르거나 로드 아웃을 설정하는 UI에, 그것도 가장 눈에 잘 띄는 최상단에 위치하며 플레이 경험을 망치는 것에 있습니다.
가장 편해야하고, 접근성이 좋은 장소에, 아이템이 아닌 광고가 자리 잡은 것이죠.

주로 콜옵의 배틀 패스나, 유료 무기, 코스메틱 아이템들을 유저에게 추천하는 광고 들이죠.
무기를 고를 때는: 더 강해 보이는 무기의 광고를, 이벤트 창에서는: 매력적인 코스메틱 광고를 넣어, 사용자의 과금을 유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게이머들의 반발은 매우 큽니다.

 - 이 게임은 여전히 $80입니다. 무료 게임이 아닌 이상, 광고로부터 자유로워야 합니다.
 - 이젠 무기 선택 창에서도 광고를 봐야 한다니, 말이 됩니까?
 - 사고 싶은 사람은 알아서 상점에 갑니다. 이런 식의 광고는 전혀 설득력도 없고, 오히려 거슬립니다.
 - 점점 더 모바일 게임 같은 UX가 되어가는 것 같아요. 콜옵만의 무게감이 사라지고 있어요.

콜 오브 듀티 시리즈는 최근 수익성 악화로 인해, 워존의 서비스 종료를 예고하기도 하고, BM 모델 전반의 수정을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도 돌았습니다.
이번 광고 삽입은 그러한 수익 보완의 일환으로 보이지만, 풀 프라이스 게임마저 모바일식 마케팅을 도입한 것은 악수로 보이네요.




지금처럼 이미 돈을 낸 유저에게 또 다른 방식으로 돈을 걷는 구조는, 아무리 좋은 콘텐츠라도 지지를 받기 어려울 테죠.



🔊 [금주의 게임 단신] 짧지만, 중요한 업계 소식들

🔊 (루머) 엔비디아, AI 카드(GB300)의 생산량을 올리기 위해, RTX50 시리즈의 생산을 줄이고 있다.
🔊 해외 매체들 (VGC 등), 닌텐도의 정보 통제 및 스위치2 보안 전략으로 인해, 최초로 “스위치 2와 초기 출시 게임들의 사전 리뷰는 없다.”는 리뷰 포기 기사를 작성
🔊 Hi-Fi Rush의 탱고 게임웍스, 리브랜딩과 홈페이지 개편. 제목 미정의 액션 게임 개발 진행 중.




🔊 폴아웃 드라마 시리즈 공개 이후, “게임의 활성 사용자가 224%나 증가되었다.” - 보고서 발표
🔊 사펑2077, 레데리, 데이즈곤 등의 비디오 게임의 연기를 전문으로 하던 배우, 조나단 조스. 총격 사건으로 사망 🪦
🔊 스팀에 “광주 런닝맨”이라는 이름으로, 5.18 민주화 운동을 희화한 마운트 앤 블레이드 모드가 올라와 논란. 현재는 차단 조치가 완료됨




🔊 Smite 2의 개발사 Paladins Dev Hi-Rez는 경영 악화에 따라, 개발자 대신 경영진과 고위 직원을 해고. 오히려 개발자를 보호하는 특별한 행보
🔊 블루 아카이브, PC 이식 버전을 스팀으로 출시 예정 - 스팀 페이지 공개
🔊 스토브, ‘여우가 돌아오는 길’의 한국어 더빙까지 진행한 초월 한국어화, 한국어화 기념으로 굿즈를 증정하는 이벤트까지 진행 중
  8번 출구 시리즈와 같이, 정상과 가짜(괴이)를 구분해내는 감상형 게임





이번 주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들이 관심 가질만한 소식이 있었다면 좋겠네요 ㅎㅎㅎ

다들 즐거운 연휴 되시고, 다음 주부터는 다시 금요일 7경에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og in and post a comment!
Characters : 0/1000Words : 0
STOVE170747284679911
06.21.25
06.21.25 14:24 -00:00


시간축제
06.09.25
06.09.25 02:57 -00:00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48 -00:00
Author


드래곤의분노
06.07.25
06.07.25 06:04 -00:00

잘보고갑니다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48 -00:00
Author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결말포함
06.06.25
06.06.25 22:54 -00:00

게임 공약은 빠르면 좋긴 하겠지만 늦어도 좋으니 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잘만 진행해줘도 좋을것 같긴한데...
게이머 보좌관으로 유명한 이도경 보좌관이 민주당 대변인인 강유정 의원실에 합류 하기도 했고 강유정 의원과 스타 프로게이머 출신 황희두씨가 겜특위 공동위원장이라서 걱정보단 기대해볼만 한것 같습니다
홍보물도 보통 제일 알리고 싶고 주력이 되는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울텐데 게이머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사전심위에 관한 내용이라는 점도 믿음이 생기는 부분이구요
부디...이제 그만  잠재적 범죄자 취급의 고리가 끊겼으면 ㅠ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51 -00:00
Author

도덕적인 판단은 제가 사건을 잘 아는 것도 아니고, 판결이 난 것도 아니라서 뭐라 말할 수 없지만...

일은 잘 하는 것 같아서, 게임 업계도 잘 일해줄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게임에 정말 관심있고 의지가 있는 분들이, 그들을 필요로 하는 자리에 있는 것 같아서,

한번 기대해 보죠!


그리고 겜특위에서도 "사회적 인식 개선"을 여러차례 언급 했는데, 말씀 하신 것 처럼 게임을 하는 사람을 범죄자 취급하는 인식은 진짜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리즈의리즈시절
06.06.25
06.06.25 01:33 -00:00

좌나 우나 게임에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대가리에 있었는데 이번에는 과연...?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52 -00:00
Author

분쟁을 유발할 것 같긴해도, 특정 나이 사람들(특히 정치권...)이 유독 말씀하신 부정적 인식이 강한데 ㅠㅠ

이번에는 정말 게임 업계에 종사했거나, 업계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자리를 잡고 있어서 기대해 볼만 할 것 같습니다! ㅎㅎㅎㅎ


아인ii
06.06.25
06.06.25 00:43 -00:00

이왕 뽑힌거 내건 공약이라도 잘 실행해 준다면 좋겠습니다...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53 -00:00
Author

선거 때 말한 공략은 안지켜지기로 유명하지만, 공략의 반만이라도 실천해 준다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위스키캣
06.05.25
06.05.25 23:52 -00:00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53 -00:00
Author

감사합니다!

고요한바위
06.05.25
06.05.25 14:59 -00:00

새로운 게임 특위 정말 기대됩니다.

인디 개발자들에 대한 편의와 지원 또한 기대 되네요.

게임산업이 많이 커졌는데 이제야 그에 맞는 대우를 해주는 느낌입니다.


블러드 스트레인드 2가 저는 제일 기대되네요.

리눅스는 서브컴이 생기면 한번 세팅해보고 싶네요. 윈도우 갈아타는게 영 귀찮습니다. 호환성 때문에 메인컴은 윈도우를 써야겠지만... 쩝


이번 주 소식도 잘 봤습니다.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57 -00:00
Author

이전에는 없었던 특별 위원회까지 꾸려서 정책을 꾸렸으니,

이번 정부에서 모든 정책을 시행하지 못하더라도, 조금이라도 실천해주면 게임 업계에 참 좋은 훈풍이 불 것 같습니다!

게임 산업이 더 커지고, 입김도 커지고, 대우도 좋아지는 긍정의 순환이 일어나길...


악마성 시리즈의 성공적인 귀환을 이뤄낸 블러드 스트레인드이기에, 이번 편도 기대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윈도우의 호환성은 참 ㅠㅠ 저 윈도우가 리소스를 잡아먹는 것도, 그 호환성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보니...

드라이버 문제만 잘 해결되면 리눅스도 엄청 널리 퍼질 것 같은데, 그 윈도우의 호환성을 따라가지 못해서 ㅠㅠ


즐거운 한 주 되세요!

혼돈악
06.05.25
06.05.25 14:01 -00:00

신작들 오 재밋겠다재밋겠다 하면서 보다가 

베이비스탭이라는 타이틀보고 뭔가 흠칫했는데

아니나다를까ㅋㅋㅋㅋㅋ


그리고 웰컴백 탱고~ 

암만봐도 마소 이블위딘 3 생각없어보이는데 걍 개업축하화환명목으로 탱고한테 되팔면 되지않을까요?

(왜 아무것도 안할꺼면서 꾹 쥐고만 있는겨...) 

성사되면 기존 ip 파워도 있겠다. 칼리스토 프로토콜 만회 쌉가능일텐데...



요번주도 재미지게 읽고 갑니다요. 낄낄

촉촉한감자칩
06.09.25
06.09.25 10:59 -00:00
Author

베이비 스텝은 영상만 봐도 뒷골이 땅겨오는 조작 스트레스가 느껴집니다 ㅋㅋㅋㅋㅋㅋㅋ


MS의 탱고 게임 웍스 폐쇄가 워낙 충격적이어서, 혹시 적대적 인수 (폐업을 위한 인수)가 아니었나 싶을 정도로 음모론이 돌았죠 ㄷㄷ

그러니 일부러라도 이블위딘을 시장에 내지 않기 위해 IP를 붙잡고 있는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ㅋㅋㅋㅋ


즐거운 한 주 되세요! 

Chim
06.05.25
06.05.25 11:57 -00:00

유료로 구입한 게임에 광고를 넣는 건 황당하네요

촉촉한감자칩
06.05.25
06.05.25 12:18 -00:00
Author

대다수의 무료 게임들의 가장 첫 과금 요소이자 유일하기도 한 BM이 "광고 제거"라는 점을 잊어버린 것 같습니다.

저런 방식은 많이 아쉽네요 ㅠㅠ

덤비면문다고
06.05.25
06.05.25 10:29 -00:00

게임 쪽으로는 굉장히 긍정적인 공약이 많군요. 특히 오블리마 사태에 원인 중의 하나였던 국가 사전 심의 제도를 축소 또는 폐지한다는 점이 맘에 드네요. 물론 공약이기에 나중에 가서는 흐지부지될지도 모르겠지만...


스팀 사용자에 한해서는 AMD와 스팀OS, 리눅스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군요. 인텔 CPU와 며칠 전에 윈11로 업글한 저하고는 완전 다른 추세네요... 사용 중인 컴퓨터의 수명이 다한다면 한번 다른 운영체제나 CPU도 한번 고려해봐야겠습니다.


드디어 오랜 기다림 끝에 델타룬이! 전작인 언더테일을 플레이한 지도 오래돼서 언더테일 먼저 복습하고 플레이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평이 좋다니 다행이군요.


무덥고 습한 날씨에 건강 조심하시고 고향 잘 다녀오세요!

촉촉한감자칩
06.05.25
06.05.25 10:40 -00:00
Author

정말 21세기에 어울리지 않는 국가 검열 시스템이었죠! 이제는 순차적으로 사라진다니 환영할만합니다! ㅎㅎㅎ


OS의 경우는, 역시 한국에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됩니다 ㅠㅠ 특히 리눅스는 한국어 지원이나 드라이버 지원. 그리고 한국 유틸리티가 약해서 ㅠㅠ 한국어 공식 지원 리눅스 프로젝트인 "하모니카"도 있었지만, 어느순간 죽어버린 것 같고요 ㅠㅠ


이야, 언더테일도 복습하고 플레이하실 거면, 정말 스포일러 조심하셔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즐거운 연휴 되세요!


Ruledes
06.05.25
06.05.25 09:58 -00:00

재미나게 잘 보고 있어요!!

촉촉한감자칩
06.05.25
06.05.25 10:19 -00:00
Author

감사합니다!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