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1734229511772100
2hr ago
06.22.25 07:25 -00:00
121 °C

congrats

OVERFLOW525
32min ago
06.22.25 08:41 -00:00
1
몬드리히트
1hr ago
06.22.25 07:56 -00:00
ㅊㅊ
STOVE170268609714710
3hr ago
06.22.25 06:37 -00:00
0 °C

STOVE170268609714710 caught 68 dinosaurs!
I got 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Catch the moving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STOVE120177796
3hr ago
06.22.25 06:24 -00:00
10 °C

STOVE120177796 caught 90 dinosaurs!
I got 2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Top Ranker Mode ON 👑
But you mustn't let your guard down!


🦕Catch the moving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Play Review
WHDO
3hr ago
06.22.25 06:20 -00:00
10 °C

I get a little motion sickness when I runㅠ

촉촉한감자칩
3hr ago
06.22.25 05:47 -00:00
793 °C


When cutting something with a knife, have you ever felt that it cuts much better if you push or pull rather than just press down? This isn't just a feeling. It's a feeling that actually has scientific basis .
▷ Pressing vs. Pushing/Pulling — The Difference in Cutting Force When you simply press down on the blade, the object experiences a ' compressive force ' that tears or breaks. This requires a lot of force and often does not cut cleanly.
However, when you push or pull the knife , shear force is added to the compressive force, which dramatically improves cutting efficiency .
This shear force is a force that twists an object sideways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on textured structures such as fibers or tissues .
Also,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 the blade is not completely smooth, but has microscopic serrations and protrusions.
These protrusions act like saws to cut through the grain of the object during the 'push/pull' motion.
If you cut the cake by pressing down on it, the cross-section will look like the cake is clumped together, but if you push or pull the knife long enough, the cross-section will look clean.
So, even when cutting cake or soft ingredients, if you move the knife in a long motion , you can see that the cross-section is cut smoothly and cleanly . The reason that cake cutters are particularly long compared to other knives is because they are intended to be cut by moving them in a long motion. However, as the distance the knife moves increases, there is a greater risk of accidentally cutting another part of the body (your hand), so always be careful .
▷ Shear force from curvature — making it easy for beginners to cut So why are the kitchen knives we commonly use slightly curved?
The curvature of the blade naturally induces a “push/pull effect” (pushing the knife or food) even when the user simply presses down from top to bottom to cut.
Thanks to this , even beginners can easily cut by applying natural shear force without any special skills. = It cuts well.
Curved farming tools, represented by the sickle > All weapons based on this,
It was born from the wisdom of “easily inducing shear force” even for beginners.
The subtle curvature of the sickle and cleaver is the result of a design that allows even beginners to easily achieve the shearing effect.
▷ Wait, isn't the Chinese food straight?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kitchen knife (a large Chinese kitchen knife) takes a completely different approach.
This knife works like an axe, with the blade creating a slit in the material and the thick body cutting through the slit .
So even if the blade is slightly dull, the cutting power is still maintained. This is because the cutting method is centered on 'compression force' . (More precisely, the expression 'center of inertia' is correct.)
For this reason, Chinese knives are designed to be heavy , and are often used in a way that feels close to pressing down with some force to cut.
The unique “tang tang tang” sound of chopping boards on Chinese food is also a unique characteristic of Chinese food that was born from this different approach. ㅎㅎㅎ
Of course, there are experts who sharpen their Chinese knives to cut the radish thinly. There are many experts who quietly cut their swords while viewing the tang tang tang sound as “too much force”, so be careful not to make hasty generalizations!
Although the thickness of Chinese knives varies depending on their intended use, they are usually two to three times thicker than regular kitchen knives.

Among them, there are knives that have a curved blade, thus incorporating the advantages of a regular kitchen knife.


▷ Curvature of weapons - The emergence of cavalry and the curve The main force on ancient battlefields was mostly infantry .

Spartan, Athenian, and even Roman heavy infantry, these infantry mostly used short straight swords such as the gladius .

At that time, it was closer to a secondary weapon that supported the spear and shield rather than a primary weapon. Therefore, it was a secondary tool that was taken out and used only when it was close enough to engage in a fight with a spear.


It is clear why a straight sword was chosen here.
Because it was easy to mass-produce, easy to store and use in group combat, and advantageous for straight-line stabbing and suppression.
Technically, the straight sword was a “comfortable and reliable” choice in many ways.
The standard weapon of the Roman infantry. You can see the gladius, a close-range 'straight sword' focused on stabbing.
Meanwhile, in cavalry-centered societies such as Central Asia and Mongolia, the story is different.
The swords most commonly used in this area were mostly curved swords .
Cavalry must charge quickly on horseback and cut down their opponents.
At this time, with a straight sword, the sword would absorb the shock and the energy would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hand, or the cutting force would easily be dispersed. It would have been easy for the attack to rely on compressive force rather than the shear force mentioned above. (So the cavalry lance, a “weapon that concentrates momentum into one point,” can also be seen as a type of division.)
On the other hand, the curved sword naturally forms a 'push or pull' trajectory as the sword makes contact with the target . As a result, shear forces are generated literally “by a passing slash”, resulting in highly effective cutting .
The representative light cavalry unit, the Hussars, holding up their swords
This type of curve naturally spread across Europe as the mainstream shifted from infantry to cavalry.
In Poland and Hungary, it was called Szabla, in France and England, it was called Sabre, and in English, it was called Saber.
These are words that literally mean 'cavalry' .
In some creative works, it appears as the name of a knight class, but to be exact, it is a word that means “cavalry sword.”
The actual weapon isn't even a cavalry sword ㄷㄷㄷ

Since the Asian region had a "cutting-centered" sword culture from the beginning, infantry also developed using swords, so straight swords were rare.

Even in modern times, the shear efficiency of the curve is still vali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jungle machete, especially the famous Nepalese curved sword 'Kukri'.
When cutting through tough jungle vines or tree branches, a simple swing of the blade or branch will push the curved blade or branch, naturally applying shear force to cut the object .
Especially when cutting the fibers of tough jungle plants, compression alone is not effective, so a curvature that seems particularly exaggerated has developed.
On the other hand , weapons with short blades, such as daggers, are difficult to push or pull sufficiently , so they are made with little or no curvature or with curvature only at the tip. They often evolved into a stabbing-focused design . There are also curved knives (karambits) that resemble animal claws, but they are often used for fighting demonstrations, collections, and decoration rather than actual combat.
In creative works, you can often see scenes where daggers or pocket knives are swinging around in a big way, but this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aggers. If you are trying to show off the amateurism of your opponent, it may be an accurate scene, but if you consider realistic weapon use, you need to keep in mind that daggers are weapons specialized for stabbing .
I'm not saying you shouldn't swing a dagger at all, but it's not very effective at cutting, and even if it does, it leaves a very shallow wound.
If you just hit hard, it will slide along the curved blade and “features a jungle where shear force is maximized”
▷ 'Beki', practiced countless times in Kendo — Why draw a curve?
Beginners who are new to kendo tend to think that if they just strike hard with the sword, they will be cut.
But in reality, if you just press like that, the blade will often get caught on the target or stop mid-sword. Even if it's a famous sword.
So in kendo, you practice repeatedly striking along a trajectory that draws an 'arc', that is, a curve .
This is not simply for show or formality, but to ensure that the sword's trajectory naturally includes 'pushing' and 'pulling' movements .
That is, the shear force is maximized through curved motion rather than straight motion, and it is made to cut properly.
In actual kendo training, the depth and trajectory of the cut are controlled.
Focus on learning the balance so that the knife doesn't cut too shallow or too deep.
For example, in 'cutting rice stalks', if the knife does not draw an ideal arc, the cut is stopped, If you pull too hard, the knife may slip and the cut may appear to curve up or down instead of going straight.
Straw Exhaust — If the sword isn't pushed hard enough, it will stop, and if it's pushed too hard, it won't cut all the way through or will have a weird trajectory.
▷ Bonus: The Sharpest Blade, Single Molecule Cutter - Obsidian Today, a variety of knives are emerging that maximize cutting power through nano-processes and advanced materials.
But theoretically, the sharpest blade is made from a natural material: obsidian .
Obsidian is a natural glas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that, when split in a specific way, forms extremely thin, almost single-molecule level, sharp edges .
These blades are only a few tens of nanometers thick, and can cut sharper than modern razor blades or even surgical scalpels. They have even been used in some surgeries. It's glass-based so it doesn't cause any inflammatory reactions.
(Left) Electron microscope comparison of an obsidian blade and (right) a modern metal mass

Of course, its practicality is poor because its durability is too weak (it can be broken by hand), but it is interesting that even natural materials have reached the level of maximum cutting power.

So, the Aztec obsidian weapons were not symbols of an old era, but in some ways, they could be seen as cutting-edge technology comparable to modern sharpness.


▷ The sword is curved not just because it looks cool
The curved swords we often see in games, such as the curve of a Japanese sword or a Joseon sword, a Middle Eastern-style curved blade, or a saber-like weapon…
This curvature wasn't created just because it 'looked cool'.
It contains the logic of battle accumulated to survive in an actual battlefield.
And it contains a scientifically proven structural solution to improve cutting power.

Of course, there are swords that are strangely curved for aesthetic reasons… but basically, swords that are “for cutting” naturally acquire curvature over the course of evolution .


Some say that the final evolution of the sword is the "Dao", a short but more curvatured Joseon Hwando compared to the Japanese sword.
By the way, did you know that in games (especially 3D), these curved swords are harder to find than you might think ? LOL
Straight weapons are relatively easy to 3D model, texture, rig, and animate.
Curved weapons make sword trajectory and collision detection calculations more complex, and rotational trajectory animations also become more difficult .
Especially in older game engines, the direction of the cut and motion sync are important, but the problem of collision range or hit effects being out of sync with distance occurred more frequently with curved lines. In the beginning, there was even a time when it was “an object of avoidance” !
Even in recent games, it is common to see swords like Japanese swords being modeled as curves, but when actually handling collisions internally, they are processed “just like straight swords.”
The circumstances of adults are really... ㅋㅋㅋㅋ
Hwang Seong-gyeong, who appears in SolKal6, also appeared in the past with a straight sword instead of a straight sword. (Screenshot by Sophitia)
Even in the latest version, the effect contained in the curved sword can be seen as a compromise, expressed as a “straight line”.

1 / 13
Chim
1hr ago
06.22.25 08:04 -00:00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혼돈악
1hr ago
06.22.25 07:53 -00:00
"문"에 이어서 "곡선류" 취급주의 메모해놔야겠군요ㅋㅋㅋㅋ 저런 곡선류 나이프가 찌르기 위주라서 총상에 비하면 일견 타격이 없을 거 같지만 실상 찌르고 다시 빼면 본의아닌 전국장기자랑이 될 수 있어서 치명상이라고 하던거를 본 거 같습니다. 
누가바사주세여
4hr ago
06.22.25 05:21 -00:00
0 °C

The number of dinosaurs caught by the person who said "Nugabasajuseyo" is 57!
I got 2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Catch the moving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YUILeeYuJin
5hr ago
06.22.25 04:25 -00:00
70 °C

congrats

문어짬뽕
4hr ago
06.22.25 05:30 -00:00
ㅊㅊ
하얀세이지
7hr ago
06.22.25 02:19 -00:00
0 °C

White Sage caught 60 dinosaurs!
I got 600 Flakes as a challenge reward.
You have some good skills!
But aren't the real experts faster?


🦕Catch the moving dinosaur
Take the challenge now!
👉 [Play on the Stove App]

혼돈악
15hr ago
06.21.25 18:28 -00:00
341 °C

Yes~ This is a hot new product, and they are giving it away for free.

It was "Urban Legend: Sight"~

Now you all have played the game~

Congratulations~

...Is that really all?

yes.

All of this was made domestically.

I just wanted to find a cursed masterpiece or cult game.

Let's just say it's my fault.

"But is this the end?"

( But this is a totally weird family... )

What was the scariest thing in the game?

In that short period of time, it became a lost media

What scared me the most was that it ended up being an unexpected limited edition...Hodaldal...

"King, is this Go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free distribution alarm I saw on the stove,

There are also two reviewers who have already played the game and given it rave reviews.

Now no one knows who they were and what comments they made.

Isn't this a truly chilling mystery?

...Yeah, stop being so annoying

It's going to get really hot now

Next time, I'll bring you a proper Gombo game that Shroud Marryen can play.

As you can see, it's not really that easy.

"King, is this God?"

1 / 14
리즈의리즈시절
5hr ago
06.22.25 04:25 -00:00
겜 사라졌나요? 라이브러리에는 넣었던거 같은데
촉촉한감자칩
5hr ago
06.22.25 04:23 -00:00
심지어 일러도 전부 AI군요... 여러 의미에서 공포네요 ㅋㅋㅌ
GomGomNoob
05.27.25
05.27.25 01:08 -00:00
400 °C

I definitely did it late yesterday
You can pull it out without any problem
You can make flakes too
Something is strange though
It's good for me, so I'll do it.
thank you
Rather than saying that the reset time has changed,
I could be mistaken because of the daylight saving
I failed because I got 2,000 in the draw
You made a huge save by getting 8k on your mobile app!
thank you
I thought games would be added to the store check-in today
I guess it'll happen tomorrow
I wish there were more games in my favorite genre released lol

Please bring lots of flakes tomorrow~
Good luck with the flakes everyone!

LadyCALLA
05.31.25
05.31.25 09:35 -00:00
406 °C
[25년 5월의 Pick!] 체험판으로 만나본 인디 게임 4선



안녕하세요, CALLA 입니다.


여전히 일교차는 크지만, 

한낮의 기온은 어느새 초여름을 연상시키는 5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이번에도 제 시선을 사로잡은 개성 넘치는 네 편의 국내 인디 게임 체험판 네 편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달의 주인공은 다음과 같습니다.


  • 0204 AURORA (Ikik Lee)
  • 그날의 신문 (DivingStudio)
  • 그릴드: 포터 저택 실종 사건 (더옐로우룸)
  • 안티브이 리부트 (Devfcat)


4편 4색의 매력 속으로, 함께 떠나보실까요?


0204 AURORA

Ikik Lee



0204 AURORA는 Ikik Lee 개발자님이 개발 중인 미니멀한 2D 픽셀그래픽 세로형 방탈출 퍼즐 어드벤처 게임입니다.



'0204 AURORA'는 방탈출 요소를 연상시킬 만한 짧은 한 줄 설명이 전부여서, 게임 설명만으로는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도무지 감이 잡히지 않는 작품이었습니다.


그런데 앞서 '0204 AURORA'의 체험판을 플레이한 유저분들의 평가는 호평 일색이어서, 이 작품에 대한 호기심이 일었습니다.




다른 유저분들의 평가를 통해 체험판의 분량이 짧을 것이라는 점은 예상했지만, 설마 플레이 시작 후 5분도 채 되지 않아 체험판이 끝나버릴 줄은 예상치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5분 남짓의 짧은 플레이 만으로도, '0204 AURORA'에 대한 플레이 욕구와 뒷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0204 AURORA'는 모바일 출시를 염두에 두고 개발 중인 작품인지, PC 게임 중에서는 보기 드문 세로 스크린 형태입니다.


이야기는 음악 방송 방청을 위해 방송국에 온 주인공이 말하는 토끼를 발견하여 그 뒤를 쫓기 시작하는 장면에서부터 시작됩니다.




토끼가 '방송굴'이라 적힌 토끼굴 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본 주인공도 그 뒤를 따라 방송굴로 들어가지만, 이후 주인공은 누군가의 방으로 추정되는 낯선 공간에 갇히고 맙니다.




방 안에는 소파와 책상이 놓여 있었고, 라디오와 노트북 같은 전자기기들도 눈에 들어옵니다.


어쨌거나 이제 곧 음악 방송이 시작될 시간이니, 이런 곳에서 한가롭게 시간을 보낼 여유는 없습니다.


여기가 어디인지 알 수 없지만, 전력을 다해 이곳을 탈출할 방법을 찾고, 늦기 전에 음악 방송을 보러 가야 합니다.


그런데 이곳, 정말 어디인 걸까요?




너무나 순식간에 끝나버린 체험판이 아쉽게 느껴질 만큼, 짧지만 신선하고 호기심을 자아내는 작품이었습니다.


'방송굴'이라 이름 붙여진 이 토끼굴은 무엇을 하는 곳이고, 말하는 토끼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애초에 말하는 토끼가 정말로 실존하는 존재는 맞는 걸까요?


무엇보다 작품의 제목인 '0204 AURORA'의 의미는 무엇이고, '0204 AURORA'와 말하는 토끼 그리고 방송굴은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무슨 관계인지가 궁금해집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모티브로 한 듯한 이 작품은 초창기 모바일 게임의 감성을 간직하고 있는 동시에, 독특한 컨셉과 스토리로 본편에 대한 흥미를 돋우는 작품이었습니다.


추후 정식 출시 버전으로 만나보고 싶은 작품, '0204 AURORA'였습니다.



그날의 신문

DivingStudio



날의 신문은 DivingStudio에서 개발 중인 2D 저널리즘 시뮬레이션 게임입니다.


1920년대부터 1945년 해방까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는 이 작품에서 플레이어는 한 신문사의 편집장이 되어, 역사적 사건들을 취재하고 기사로 발행해야 합니다.


진실을 알리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언론인의 사명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 결정 하나가 신문사의 존폐를 좌우한다면, 그 선택의 무게는 크고 무겁게 다가올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없는 고뇌 끝에 도달한 선택에 따라 행동하고, 스스로의 결정이 세상을 어떻게 바꾸어 나가는지를 직접 체험하고 싶으시다면, 이 작품 '그날의 신문'을 추천해 드립니다.




체험판에서는 '고종 황제 서거'와 관련된 사건을 총 세 차례에 걸쳐 취재하고, 그 결과를 기사로 발행하게 됩니다.


참고로 체험판인 만큼, '전화기'와 '타자기' 기능은 개방되어 있지만, 그 외의 기능들은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전화기'를 통해 사건 현장에 기자를 파견하고, 취재 지시를 내리세요.

취재를 통해 사건 관련 정보가 모였다면, '타자기'를 사용해 기사를 작성하고 발행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는 취재 과정에서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고, 누구를 만날지를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사건이라 하더라도, 정보를 수집하는 장소나 취재 대상에 따라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달라지기 때문에, 매 선택마다 신중한 판단이 요구됩니다.


또한 취재 방법에 따라 난이도 역시 제각각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정보 입수를 위해 어떤 방향으로 취재를 진행할 것인지 결정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취재를 위해서는 각 현장 상황에 맞춰, 기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기자를 파견해야 합니다.


기자들은 각기 다른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현장의 상황과 특성을 잘 파악하고, 훌륭하게 취재를 완수해 낼 수 있는 기자를 파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날의 신문'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TRPG, 즉 주사위 굴림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취재를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는 요구 능력치가 일정 기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최종 능력치는 기자가 보유한 고유 능력치에 주사위 굴림으로 부여되는 보너스 수치를 더해 계산되며, 이 값이 요구 능력치를 상회할 경우, 해당 취재는 성공적으로 완료됩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게임 내에 '타자 게임' 형태의 미니 게임 요소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제한 시간 내에 주어진 문장을 정확히 타이핑하는 데 성공하면, 암호를 해독할 수 있습니다.


개발사에 따르면, 추후에는 인터뷰와 잠입과 관련한 미니 게임도 추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기사에 실을 사건에 대한 취재와 정보 수집을 마쳤다면, 이제 타자기를 이용해 기사를 발행할 차례입니다.


기사는 '신뢰도', '검열 위험도', '파급력' 세 요소를 모두 고려해 작성해야 합니다.

기사가 발행된 이후에는 해당 기사를 접한 독자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날의 신문'은 다가오는 8월 15일 광복절, '얼리 액세스'를 통해 첫 선을 보일 예정이며, 올해 연말 정식 출시를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체험판의 제한된 기능만으로도 '그날의 신문'만의 재미와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본편에 대한 기대감이 큰 작품입니다.



그릴드: 포터 저택 실종 사건

더옐로우룸



릴드:포터 저택 실종 사건은 더옐로우룸에서 개발 중인 3D 1인칭 미스터리 추리 어드벤처 게임입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은 여왕의 명을 하사받아 길을 나섰다가 도중에 우연히 추락 사고를 당하는 왕실 직속 수사관 겸 집행인 '애슐리'입니다.


추락 사고로 정신을 잃었던 애슐리는 어느 낯선 저택에서 눈을 뜨게 되는데, 그곳은 몰락 귀족 '포터 가'의 저택이었습니다.




포터 가문은 왕국 내에서는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로 유명한 귀족 가문이었으나, 10년 전 어느 날 포터 가문의 가족과 수십 명의 하인이 단 하룻밤 사이에 모두 사라지고 마는 전대미문의 일이 일어납니다.


마치 '증발'하기라도 한 듯이 말이죠.

그야말로 기묘한 사건이었습니다.


그날의 비극을 피한 유일한 인물은 포터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이자, 이 저택의 현 주인이기도 한 로윈 포터 남작뿐입니다.


이 저택의 메이드인 리베라 체스트의 설명에 따르면, 추락 사고로 정신을 잃은 애슐리를 구한 인물 또한 로윈 포터 남작과 리베라 자신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저택에는 현재 애슐리 외에도 몇 명의 손님이 더 머물고 있었습니다.


그 손님들이란 우편배달부인 '바비 쿠엔틴'과 퀸즈 데일리의 파견 기자 겸 작가인 '메이블 램지' 그리고 어느 가문의 귀족으로 추정되는 '케네스'입니다.


애슐리를 포함한 이들 모두는 같은 이유로 이곳을 떠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그건 바로 저택과 육지를 연결하는 두 개의 다리가 모두 끊어져 버렸기 때문입니다.


넓은 저수지 한가운데에 지어진 포터 가의 저택은, 저택 좌우에 위치한 두 개의 다리를 통해서만 육지로 나갈 수 있는데, 그 두 개의 다리가 모두 끊어져 버린 것입니다.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공교로운 상황이었죠.




육지와 저택을 연결하는 다리가 끊어지면서, 다리가 복구되기 전까지는 이 저택에 머물고 있는 사람 중 누구도 육지로 나갈 수 없게 되었고, 반대로 육지에 있는 사람 중에서도 누구도 이 저택에 올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다리가 복구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략 일주일.


설상가상으로 다리가 낡아서 끊어진 것이 아니라, 누군가 고의로 다리를 파손시켰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저택에 머물고 있던 모두가 큰 충격에 빠지게 됩니다.


거대한 밀실이 되어 버린 포터 저택.

그리고 어째서인지 두문불출하며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저택의 주인, 로윈 포터 남작.

많은 것을 알고 있는 듯 하지만 말을 아끼며, 무언가 비밀을 숨기고 있는 듯한 미스터리한 리베라 체스트까지.


이 저택에 있는 사람들 중 누구도 신뢰할 수 없습니다.


플레이어는 왕실 직속 수사관으로서의 기지와 여왕으로부터 하사받은 신비한 힘, '유스티시아'를 이용하여, 이 저택과 저택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에 관한 비밀을 파헤치고, 숨겨진 진실을 밝혀내야만 합니다.




주변 환경 조사는 'Tab'키를 이용해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Tab'키를 눌러 '통찰'을 활성화하면,  상호작용 가능한 아이템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탐색을 통해 찾아낸 주요 정보들은 탐정 수첩에 자동으로 기록되며, 단서 간 관련성을 파악하거나 다른 인물을 심문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에 '그릴드'기 들어가는 이유는, 왕실 직속 수사관인 애슐리가 '유스티시아'인 '로스트'의 힘을 빌려서 사용하는 범죄자 심문 기술의 이름이 '그릴링 (The Griling)'이기 때문입니다.


유스티시아가 만들어낸 '불타는 진실의 공간' 안에서, 왕실 직속 수사관은 범죄 용의자를 직접 심문할 수 있습니다.


수사관이 용의자가 거짓을 밝혀내면, 유스티시아는 거짓을 고한 것에 대한 처벌로 용의자의 영혼을 조금씩 삼켜 버립니다.


'그릴링'은 이 작품의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플레이어는 수집한 단서와 증언을 바탕으로 '불타는 진실의 공간'에서 요리조리 발뺌하며 빠져나가려 하는 용의자를 완벽하게 심문해, 진실을 실토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미스터리와 추리 요소가 적절히 잘 어우러진 또 한 편의 기대작으로, 이 작품 역시 정식 출시가 매우 기대됩니다.



안티브이 리부트

Devfcat



티브이 리부트 Devfcat에서 개발 중인 2D 캐주얼 퍼즐 게임입니다.


주인공은 잠들었다 깨어나 보니, 자신이 개발 중이던 프로그램 속에 갇혀 버린 개발자로, 플레이어는 이 불운한 개발자가 되어 게임을 플레이하게 됩니다.


이 작품의 궁극적인 목표는, 버그투성이 프로그램 속에서 암호 데이터를 수집해 긴급 복구를 진행하고, 무사히 현실 세계로 복귀하는 것입니다.




게임은 스테이지 형태로 전개되며, 플레이어를 돕기 위해 두 명의 AI 도우미가 등장합니다.


이들의 설명에 따르면, 시스템 곳곳에 '암호 데이터'들이 숨겨져 있긴 하지만, 암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이는 오직 '관리자 권한'을 가진 플레이어뿐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플레이어가 이 낯선 공간, 아니 프로그램 속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V의 방향 설정 능력과 P의 이동 능력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암호 데이터'를 수집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련의 스테이지를 순차적으로 완료해 나가야 하며, 각 스테이지의 클리어 조건은 제한된 턴 수 내에 캐릭터를 조작해 맵 상의 '자물쇠' 지점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는 몇 가지 제약 사항이 존재합니다.


1.   플레이어는 캐릭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없습니다.

캐릭터는 일정한 속도로 계속 회전하며, 키보드의 아무 키를 누르면, 회전을 멈추고 방향이 고정됩니다.


2. 이 상태에서 다시 한번 더 아무 키를 누르면, 캐릭터는 해당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합니다.


3. 플레이어는 좌측 상단에 표시된 턴 수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다양한 장애물을 피해 캐릭터를 자물쇠가 있는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시켜야 합니다.


4. 장애물의 종류에는 닿는 즉시 게임 오버가 되는 붉은색 데이터,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노란색 데이터, 캐릭터를 튕겨내는 핑크색 데이터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합니다.


5. 난이도는 스테이지 진행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하며, 장애물의 종류도 이에 맞춰 하나씩 추가됩니다.




작품 내에서 스토리 비중은 크지 않습니다.


제한된 턴 수 내에 캐릭터를 효율적이고 전략적으로 이동시켜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고, 점점 상승하는 난이도에 도전하는 재미를 중심으로 하는 작품입니다.


두뇌 회전을 요하는 문제 해결 중심의 게임을 선호하시는 분께, '안티브이 리부트'의 플레이를 권해 드립니다.





그거 아세요?

내일이면 6월이 시작되고, 6월은 2025년 상반기의 마지막 달입니다.

벌써 2025년의 절반이 지나가고 있다는 뜻이죠.


연초에 세우신 계획들은 차근차근 잘 실천해 나가고 계시나요?


계획대로 잘 해나가고 계시다면, 앞으로도 지금처럼 힘내서 꾸준히 잘 해나가시길 응원합니다.


혹시 계획대로 잘되지 않고 있다고 해도 괜찮습니다.

2025년은 아직 절반도 채 지나가지 않았고, 올해 지나온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이 앞으로도 남아 있으니까요.


여름은 아직 오지 않았고, 가을이나 겨울을 언급하기엔 아직 너무 이르니까요.

그러니까 정말로 괜찮습니다.


지금까지 잘 해 오셨고, 

앞으로도 더 잘 해 나갈 수 있으며, 잘 해 나가실 여러분과 제 자신에게 응원을 보내며, 이 글을 마무리합니다.


5월 한 달 정말 수고 많으셨고, 6월에도 모두 모두 파이팅입니다! 🍀


저는 6월의 작품과 함께 돌아오겠습니다. 

6월에 다시 만나요! 





Log in and post a comment!
Characters : 0/1000Words : 0
S1742564527932812
06.03.25
06.03.25 17:06 -00:00


위스키캣
06.03.25
06.03.25 12:48 -00:00


STOVE169891644663911
05.31.25
05.31.25 15:28 -00:00

ggggg

촉촉한감자칩
05.31.25
05.31.25 11:07 -00:00

잘 보고 갑니다! 남은 반년도 알찬 25년 되세요!


덤비면문다고
05.31.25
05.31.25 09:39 -00:00

<그릴드: 포터 저택 실종 사건>은 개인적으로 취향이라 정말 재밌게 즐겼습니다. 추리 게임 좋아하시면 강추드립니다!

 

2025년 하반기도 계속해서 좋은 글 잘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