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엑스포
1시간 전
25.01.24 00:41 -00:00
110 °C

나의 무기로  씉장내주마

S1735818904832000
1시간 전
25.01.24 00:51 -00:00
ㅊㅊ
쌔웅c
1시간 전
25.01.24 00:34 -00:00
61 °C

ㅊㅊ

S1723326904875911
2시간 전
25.01.24 00:32 -00:00
111 °C

화팅

S1737298004484011
4시간 전
25.01.23 22:28 -00:00
221 °C

췤!

Yun8946
2시간 전
25.01.24 00:11 -00:00
ㅊㅅ
S1725514039287011
4시간 전
25.01.23 22:08 -00:00
180 °C

ㅊㅊ

S1730254370692111
3시간 전
25.01.23 22:33 -00:00
ㅊㅊ
S1725514039287011
4시간 전
25.01.23 22:10 -00:00
작성자
ㅊㅊ
닉중1
13시간 전
25.01.23 13:20 -00:00
253 °C

안녕하세요. 

리들 조커와 천연만화를 담당한 번역팀 Myskrpatch의 닉중이라고 합니다.
저희 팀이 스토브에서 출시된 작품을 담당한 적은 몇 번 있지만 제가 번역에 참여한 작품은 이번이 첫 번째가 되네요.

즐거운 플레이 경험이 되셨을까 걱정 반, 기대 반의 마음이 있습니다.

리들 조커 발매 초기에 미번역 문장 등 번역 이슈가 있던 것은 인지하고 있습니다.

최대한 대응하려고 노력했습니다만 개발사와의 소통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는 말로 약간의 변호를 해 보려 합니다.

다행히 지금은 이슈가 되는 부분들이 해결된 최신 버전의 텍스트가 적용되었다고 하니 안심하고 플레이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처음 유즈 소프트 게임의 번역 프로젝트에 대한 연락을 받았을 때 적잖이 놀랐습니다.

물론 국내에서도 비주얼 노벨의 유행이 있었고 최근에도 양질의 작품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등 주목도가 높아지긴 했어도

'일본식 비주얼 노벨'이 정발되기에는 여러모로 어려움이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사야의 노래', '당신과 그녀와 그녀의 사랑' 등의 작품은 일본 비주얼 노벨 계에서도 굵직한 작품들이지만

유즈 소프트는 그런 작품들과는 많이 다른 맛이 있는 회사입니다.

흔히 '미연시'라고 했을 때 바로 떠올릴 수 있는 일반적인 인식에 더 가까운 작품이지요.

명확한 기준이 있는 분류는 아니지만 일본 비주얼노벨 팬들은 흔히 '스토리게'와 '캐러게'라는 분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전자는 꼼꼼한 복선과 하이라이트의 카타르시스를 주는 깊고 짜임새 있는 스토리를 내세우는 작품들을 말하며, 

후자는 전력을 다해 캐릭터들의 매력을 보여주고 달달한 연애 파트로 전개되는 과정을 중시하는 작품들을 말합니다.
유즈 소프트의 경우에는 후자에 해당하지요.

소위 '일본 미연시'는 이런 작품들이 더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이런 작품을 내는 회사들 중에서도 유즈 소프트는 압도적인 판매량을 달성하고 있는 회사고요.

개인적으로도 가장 좋아하는 회사 중 하나였기에 그런 만큼 즐겁게 번역할 수 있었습니다.
번역자 이전에 한 명의 비주얼 노벨 팬으로서 좋은 작품을 소개할 기회를 마련해 주신 스토브에게 감사를 드리고 싶네요.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오타쿠 본토의 맛이 가득한 유즈 소프트의 작품을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

리들 조커는 이능력 액션 활극을 표방하고 있는 작품이지만 사실 그런 설정은 부가적인 요소에 가깝고

결국 러브 코메디 학원물이라고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 

유즈 소프트의 다른 작품을 경험한 적 있다면 항상 익숙한 그 맛이구나~ 하셔도 좋습니다.

히로인 모두 각자 좋아할 만한 이유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즐겁게 번역했던 캐릭터는 메인 히로인인 아야세였습니다.

누구에게나 친절하고 성격 좋은 사람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내숭 가득한 독설가지요.

양면의 갭이 통통 드러나서 표현을 고민하는 순간들이 내내 즐거웠던 기억이 있네요.

담당 성우 분은 장송의 프리렌의 '프리렌', 스파이 패밀리의 '아냐' 등 굵직한 캐릭터들을 담당하며 최근 주가가 높아진 타네자키 아츠미 씨입니다.

주로 비주얼 노벨을 담당하던 때도 연기의 폭이 대단히 넓다고 생각했는데 어느 샌가 일류 성우의 반열에 당당히 올라가신 모양이더라고요.

성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이 시절부터 양면적인 캐릭터의 연기를 어떻게 소화해냈는지 주목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즈키는 사극을 좋아한다는 설정이 있습니다.

그에 따라 인게임에서도 몇 가지 패러디 작품이 등장하는데,

작중에서 언급된 '오니킨 한카초'와 '무법자 대장군'는 각각 '오니헤이 한카초', '망나니 장군'의 패러디입니다.

'오니헤이 한카초'는 60년대, '망나니 장군'은 70년대에 방영된 작품인데... 대충 하즈키의 취향이 예상이 되는 부분이네요.

--------------------------------------------------------------------------------------------------------------

천연만화는 전통적인 이미지가 강조된 작품입니다.

그에 따라 일본 고유의 요소들이 많이 등장하는 편이지요.

이 때문에 번역 방향성에 대해 여러 논의들을 했는데 작품 성격을 따라 일본적인 요소를 많이 살리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가장 재밌게 번역했던 캐릭터는 무라사메였습니다.

수백 년 존재했던 인물답게 고풍스러운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데 적절한 표현을 궁리하는 과정이 즐거웠네요.

또 개인적으로 초월자와 일반인의 관계가 묘사된 작품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 초월자가 어린 아이의 모습이라는 갭도 대단히 마음에 들고요.

별로 궁금하지 않았던 번역자의 취향 피력이었을까요?

유즈 소프트는 작품마다 분량이 적은 서브 히로인이 항상 있는데, 천연만화는 그런 서브 히로인이 두 명이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로카가 서브임에도 인기가 많은 캐릭터였지요.

그래서 당시 아쉬움을 표하는 유저들이 많았는데 이 로카의 캐릭터성이 차기작인 리들 조커에서 마유로 재구성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로카의 분량이 아쉬웠던 분들은 리들 조커도 해야겠지요?

리들 조커와 천연만화, 두 작품 모두 백만 자가 넘는 분량의 작품입니다.

아무래도 한 사람이 담당하기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여러 인원의 긴밀한 협업이 중요한 프로젝트였지요.

함께 작업한 Myskrpatch팀 멤버들과 일정 관리 및 개발사와의 소통을 담당해 주신 스토브 관계자 분들,

그리고 플레이 해 주신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아무쪼록 즐거운 플레이 경험이 되었길 바라며 또 좋은 작품으로 인사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 4
바이오맨
11시간 전
25.01.23 14:57 -00:00
수고하셨습니다!
다브브
14시간 전
25.01.23 12:05 -00:00
10 °C


S1720775935412011
14시간 전
25.01.23 11:43 -00:00
50 °C

ㅊㅊ

Yun8946
2시간 전
25.01.24 00:12 -00:00
ㅊㅊ
Sojeob
16시간 전
25.01.23 10:15 -00:00
520 °C

알람이 와있어서 응? 키캡 굿즈...? 하면서 잠시 생각해보니..

원래 저번달인 12월중 배송예정이었던 키키캐키캡 굿즈일꺼라 생각이 드네요

다른 당첨자 분들도 연락이 왔는지 확인해 보세요

1 / 2
덤비면문다고
15시간 전
25.01.23 10:40 -00:00
저도 오늘 배송지 입력하라고 알림 왔네요!
망망에엘라
19시간 전
25.01.23 06:35 -00:00
320 °C

신나네요 불금!!

감고양이
24.12.14
24.12.14 22:40 -00:00
665 °C
인디콘텐츠_안타까운 것은 안타까운 거고[라쿤 온 어 보트]리뷰

이 게시글은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이 게임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게임이름라쿤 온 어 보트[Raccoon on a boat]
게임가격6,700원
게임다운스팀
한글지원자체 지원[한국 인디 게임]


들어가기 앞서

우선 저는 이 게임의 펀딩에 참여했습니다. 비록 인게임 영상으로 트레일러를 만들지 못할 정도로 개발 단계가 초기이고, 그런 상태에서 1개월 내에 게임을 출시를 한다고 하며, 데모 버전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ALT F4, 아이 돈 폴 등을 만든 유명한 게임 제작자가 만들기도 하고, 펀딩 페이지에서 설명한 컨셉을 보자면 재밌어 보였으니까요.

그렇게 펀딩에 참여하고 정식 출시하기로 한 날짜가 거의 되어갔을 때 제작자가 코로나로 인해 1주일 정도 더 걸린다고 공지를 하였습니다. 그때 까진 '그래 아프니까'라며 좀 더 기다렸습니다. 그렇게 1주... 1개월... 3개월... 말 그대로 잊힐 때쯤 갑자기 나타나더니 '개인적인 이유로 파산했다.', '코로나 이후로 갖고 있던 희귀병이 악화되었다.'라는 공지를 올리더군요. 그렇게 해서 받은 게임은... 별로였습니다.

오늘 리뷰할 게임은 '라쿤 온 어 보트(Raccoon on a boat)'라고 하는 인디, 공포, 어드벤처 게임입니다. 위에서 어떻게 이 게임을 알게 되고 플레이하였는지 설명하였기에 별다른 말은 하지 않고 바로 플레이 영상 먼저 보여드리고 제 생각을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플레이 영상


리뷰

이 게임의 제작자는 이전에 11F라는 공포 게임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공포 연출도 별로고 물리엔진 버그가 그대로 있으며 엔딩도 호불호가 강해 게임보다 게임에 삽입된 AI로 만든 '나의 즐거운 인생(사진을 찍어주세요로 유명합니다.)'라는 노래가 더 좋았었는데... 이 게임의 경우 공포 연출이 많이 발전하였습니다. 이 정도 연출이라면 어디 놀이공원 공포의 집으로 나오거나 3D 게임으로 출시해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 정도로요. 하지만 그게 이 게임의 유일한 장점이었습니다.


우선 아들이 죽어서 미처버린 과학자가 아들을 살리기 위하여 생태공원 '보트 위의 라쿤'에 찾아오는 아이들을 데리고 비인도적인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과정에서 여러 괴물들이 만들어졌다... 하는 게 이 게임의 컨셉이였습니다.
그래서 플레이어가 누구인지, 왜 이곳에 찾아와서 이런 고생을 하고 있는지는 전혀 설명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게임 소개 페이지에서도 '한밤중에 보트를 타고, 생태공원을 탐사하는 당신은 누구일까요?'라고만 말하고 있어 그냥 어떤 할 짓 없는 놈이 이곳에 와서 생고생하나 보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게임의 조작 방법은 간단했지만 조작감은 쓰레기였습니다. WASD로 이동, 마우스로 시점 조작, 스페이스바로 사진 찍기, Q로 히든 요소 목록 확인 등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하는 게임들에서 자주 사용하는 버튼 배열을 갖고 있어 조작 방법이 쉬웠고 또 쉽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마치 빙판 위에 있는 듯한 화면 움직임, 진짜 물 위에 있는 것과 같은 조작감 + 각종 장애물 때문에 조작감은 매우 안 좋았습니다.(덤으로 물리엔진 버그도 있고요.)
게임의 진행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막말로 엔딩(A)을 보려면 정해진 길을 따라 최종 목적지로 가면 되었고 그 과정에서 연출되는 공포 분위기와 점프 스케어를 감상하면 되는 형식이었으니까요. 다만 화면이 너무 어둡고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없어 길을 찾기 힘들고, 공포 연출의 경우도 못 보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도 존재했습니다.(혹은 물리엔진 버그로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하거나)


그래픽은 3D 그래픽 그중 현실에 가까운 그래픽이 기본이었으며 '3D 게임으로 출시하면 엄청 재밌을 것 같은데'라는 느낌을 주는 그래픽이었습니다.
사운드의 경우... 실질적으로 효과음만으로 이루어졌다고 봐야 되었으며(음악이 존재하긴 합니다... 근데 저작권이 존재하는) 실제로 폐업/폐장된 혹은 산속 깊은 곳에 혼자 있는듯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끼이는 버그, 튕기는 버그 등을 발견했는데 어찌 되든 게임을 종료했다 다시 해야 해결되는 문제이고 동시에 중간 세이브조차 없어 말 그대로 버그에 걸리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기에 매우 심각한 버그들만 존재하였다고 봐야 했습니다.
위에서 한풀이 느낌으로 잡담을 했기에 바로 이 게임의 장단점을 요약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1. 공포 분위기(재미/연출)
-실질적으로 이 게임의 유일한 장점이라고 보였습니다.
-공포 게임에서 공포를 연출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소위 '갑툭튀'라 부르는 점프 스케어(소리, 갑자기 등장시켜 놀래키는 형식)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전반적인 분위기(아무도 없는 공간에서 느껴지는 이질감 등)를 통한 방식인데, 이 게임은 두 개를 다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말 그대로 아무도 없는, 무엇이 존재할지 모르는 생태공원을 밤에 혼자 왔다는 상황으로 (이때 실제 밤의 산속에서 들릴법한 소리가 들려오고 나무가 삐걱거리는 소리, 돌 떨어지는 소리 등을 재생시킴) 공포감을 형성하였고, 그 과정 사이사이에 적절한 점프 스케어를 등장시켜 하는 동안 지루함 없이 재미있게 플레이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단점-


1. 버그
-물리엔진(끼임) 버그, 튕김 버그, 일부 녹화 프로그램의 게임 녹화 시 게임이 실행되지 않는 버그 등 다양한 버그를 갖고 있었습니다. 실질적으로 버그에 걸리면 게임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고, 언제 어떻게 버그가 걸릴지 모르기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주었습니다.(저의 경우 1번의 끼임, 2번의 튕김, N 번의 녹화 오류 때문에 고생했습니다...)

2. 조작감(시야와 길찾기 포함)
-보트의 조작은 그래도 현실 반영을 위해 그럴 수 있다고 하지만 시점 조작에서 오는 불편함은 뭐라 변명할 수 없을 정도로 불편했습니다.
-마치 빙판 위에서 움직이듯이 서서히 움직이다 서서히 멈추는 형식으로 카메라가 움직이는데 여기에 마찬가지로 불편한 보트의 조작감과 좁은 시야 등이 겹쳐지다 보니 사람에 따라선 멀미를 유발하기도 하였습니다.

3. 신뢰


이분 이외에도 많은 분들이 제작자의 안부를 물었습니다. 그런데 50만 원을 후원한 분의 질문조차도 대답 않더군요.

-이 부분은 게임 외적의 내용입니다.
-저를 포함해서 많은 분들이 걱정했습니다. 코로나를 마지막으로 소식이 끊겼으니까요. 그래서 많이 아픈지, 무슨 일 있는지 등을 묻는 안부 글들을 남겼는데 그동안 아무 말 없다가 갑자기 나타나서는 '코로나 이후로 앓고 있던 희귀병이 악화되었다.', '개인적인 이유로 파산하여 현재 휴대폰도 없다.', '변명하려는 심적인 여유조차 없었다.'라고 말하다 보니 어이가 없었습니다.(아래 영상이 트레일러 영상 = AI)


-저를 포함한 펀딩 후원자들은 그저 제작자를 믿고 펀딩에 참여한 것입니다. 다른 게임과 달리 제대로 된 정보가 없던 게임을 그저 개발자님만 보고 후원을 했는데, 잠수타다 갑자기 나타나 선 뭐요? 변명하려는 심적인 여유조차 없었다? 그래도 완성을 해서 기쁘다? 3번을 버그 때문에 처음부터 다시 했는데? 어두워서 뭐가 있는지도 잘 안 보이고, 길도 찾기 힘들고, 조작도 하기 힘든데???
-물론 안타까운 사정인 거 이해합니다. 사람마다 고통을 이겨내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 역시 알고 있고요. 하지만 다른 사람의 돈과 마음이 엮여있는 상황에서 아무 말 없이 잠적하다 나타난 것은 안 좋은 선택이라 생각되었습니다.
-코로나 걸렸다고 정식 출시 미뤄진다는 글에 이해하고 완쾌하시라는 댓글이 달린것만 봐도 알 수 있다시피 중간중간 별도로 공지만 했다면 이렇게까지 실망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되었습니다.


4. 펀딩 구성품(판매 물건)

-이전에 어떤 게임에서 선착순 몇 명에게 게임 판매 수익의 일부를 나눠주겠다(다단계)는 것을 본 이후로 어이없는 구성품이었습니다.
-이 게임 역시 후원금액에 따라 보상 역시 다른 형식으로 되어있었습니다. 뭐 5천 원 후원하면 게임키와 엔딩 크래딧 등 재 이런 식으로요. 그런데 이 게임은 게임의 공략을 돈 받고 팔고 있었습니다.
-물론 판매자가 무엇을 팔든지 마음대로이긴 하지만... 수집 요소를 찾기 어렵게 만들어놓고 게임의 공략을 돈 받고 판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마무리

마무리하겠습니다. 재밌는 게임이 될 뻔한 게임이었습니다. 연출도 괜찮고 무서운 분위기 역시 제대로 조성하다 보니 재밌는 게임이 될 뻔한 게임이었습니다. 하지만 조작감이 게임을 방해될 정도로 불편하고, 주위 환경이 너무 어두워 길을 찾기도 힘들고 못 보는 공포 연출 역시 많으며, 각종 버그로 인해 게임을 제대로 즐길 수 없다 보니 말 그대로 '재밌는 게임이 될 뻔한 게임'으로 남은 게임이었습니다.(게임 외적으로도 실망을 주었기도 하고요.)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문자 : 0/1000
Chim
24.12.15
24.12.15 08:51 -00:00


감고양이
24.12.15
24.12.15 10:16 -00:00
작성자


hashiruka48
24.12.15
24.12.15 05:20 -00:00

개발자 안부 ㄷㄷ 


감고양이
24.12.15
24.12.15 10:15 -00:00
작성자

제 기억이 맞다면 게임 진행 어떻게 되어가는지 반절, 제작자 괜찮은지 물어보는게 반절이였습니다.

덤비면문다고
24.12.15
24.12.15 02:59 -00:00

펌킴사면 스토브에도 입점한 나름 유명 게임사인데 저런 대처나 결과물은 많이 아쉽군요...

아무리 개인 사정이 힘들었어도 그 부분은 소비자에겐 이해의 영역이고, 적어도 중간에 공지를 통해 계속 소통이라도 했으면 그나마 나았을텐데

감고양이
24.12.15
24.12.15 03:47 -00:00
작성자

사람마다 고통이나 아픔을 견뎌내는 방법이 다르긴 하나 다른 사람의 돈과 마음이 엮여있는 상황에서 아무말 없이 잠적하다 나타난것은 매우 안좋은 선택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덤비면 문다고님의 말대로 중간중간 공지등을 올렸더라면 별도로 문제를 삼지 않고 오히려 어떠한 형태로든 정식출시를 했다면 오히려 수고하셨다며 인사를 했을텐데 말이죠...